4차원 회전군

리 군론에서 4차원 회전군(四次元回轉群, 영어: four-dimensional rotation group)은 4차원 유클리드 공간의, 원점을 보존하는 등거리 변환의 군 O(4) 또는 이와 관련된 군들을 말한다.

정의

4차원 특수 직교군 SO ( 4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4;\mathbb {R} )} 및 이를 2겹 몫군으로 갖는 스핀 군 Spin ( 4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in} (4)} 이 있다. 이 밖에도, 부정 계량 부호수를 준

SO ( 1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1,3)} (4차원 로런츠 군)
SO ( 2 ,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2,2)}

및 이에 대응하는 스핀 군들이 존재한다.

이 군에 대응하는 딘킨 도표

{\displaystyle \bullet \qquad \bullet }

이다. 딘킨 도표가 연결 그래프가 아닌 것은 이 군이 반단순 리 군이지만 단순 리 군이 아니기 때문이다.

이들은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.

킬링 형식의 부호수 실수 기반 기호 복소수 · 사원수 기반 기호 군의 중심 기본군 비고
(0,4) Spin(4) SU ( 2 ) × SU ( 2 ) = USp ( 2 ) × USp ( 2 ) = SL ( 1 ; H ) × SL ( 1 ; H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U} (2)\times \operatorname {SU} (2)=\operatorname {USp} (2)\times \operatorname {USp} (2)=\operatorname {SL} (1;\mathbb {H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1;\mathbb {H} )} Cyc ( 2 )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\oplus \operatorname {Cyc} (2)} 0 단일 연결 콤팩트 형태
SO(4) ( SU ( 2 ) × SU ( 2 ) ) / { ( ± 1 , ± 1 ) } {\displaystyle (\operatorname {SU} (2)\times \operatorname {SU} (2))/\{(\pm 1,\pm 1)\}}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}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}
PSO(4) PSU ( 2 ) × PSU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PSU} (2)\times \operatorname {PSU} (2)} 0 0 무중심 콤팩트 형태
(4,2) Spin(2,2) SL ( 2 ; R ) × SL (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} Cyc ( 2 )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\oplus \operatorname {Cyc} (2)} 0 단일 연결 분할 형태
SO⁺(2,2) ( SL ( 2 ; R ) × SL ( 2 ; R ) ) / { ( + 1 , + 1 ) , ( 1 , 1 ) } {\displaystyle (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)/\{(+1,+1),(-1,-1)\}}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}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}
PSO⁺(2,2) PSL ( 2 ; R ) × PSL (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P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PSL} (2;\mathbb {R} )} 0 Cyc ( 2 )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\oplus \operatorname {Cyc} (2)} 무중심 분할 형태
(3,3) Spin(1,3) SL ( 2 ; C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}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} 0 단일 연결 로런츠 군
SO⁺(1,3) PSL ( 2 ; C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PSL} (2;\mathbb {C} )} 0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Cyc} (2)} 무중심 로런츠 군
(2,4) SO*(4) Z / 2 {\displaystyle \mathbb {Z} /2} Z {\displaystyle \mathbb {Z} }

성질

콤팩트 형태

Spin(4)의 최소 스피너는 복소수 2차원 왼쪽·오른쪽 바일 스피너이다. 이는 SU ( 2 ) × SU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U} (2)\times \operatorname {SU} (2)} 의 왼쪽·오른쪽 정의(定義) 표현

2 1 {\displaystyle \mathbf {2} \otimes \mathbf {1} }
1 2 {\displaystyle \mathbf {1} \otimes \mathbf {2} }

에 해당한다.

마찬가지로, SO ( 4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4)} 의 4차원 실수 정의(定義) 표현은 SU ( 2 ) × SU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U} (2)\times \operatorname {SU} (2)} 의 쌍벡터 표현

2 2 {\displaystyle \mathbf {2} \otimes \mathbf {2} }

에 해당한다.

부호수 (4,0)에서, 2차 미분 형식호지 쌍대는 대합을 이루며, 따라서 2차원 반대칭 텐서(2차 미분 형식)에 대하여 호지 쌍대에 대한 자기 (반)쌍대 조건을 가할 수 있다. 이들은 SU ( 2 ) × SU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U} (2)\times \operatorname {SU} (2)} 의 왼쪽·오른쪽 딸림표현에 대응한다.

차원 SO(4) 묘사 SU(2)² 묘사 (스핀)
2 (복소수) 오른쪽 스피너 (0,½)
2 (복소수) 왼쪽 스피너 (½,0)
4 (실수) 벡터 (½,½)
3 (실수) 자기 쌍대 반대칭 2-텐서 (0,1)
3 (실수) 자기 반쌍대 반대칭 2-텐서 (1,0)
6 (복소수) 오른쪽 라리타-슈윙거 장 (½,1)
6 (복소수) 왼쪽 라리타-슈윙거 장 (1,½)
9 (실수) 무대각합 대칭 2-텐서 (1,1)

4차원 유클리드 공간사원수의 공간

H {\displaystyle \mathbb {H} }

으로 생각하자. 그 위에는 양의 정부호 쌍선형 형식

x , y = 1 2 tr ( x y ) {\displaystyle \langle x,y\rangle ={\frac {1}{2}}\operatorname {tr} (xy^{*})}

가 주어져 있다. 여기서 우변의 y {\displaystyle y^{*}} 사원수의 켤레이다.

사원수 공간 위에는 사원수 대수가 양쪽에서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.

v a v b ( a , b H ) {\displaystyle v\mapsto avb^{*}\qquad (a,b\in \mathbb {H} )}

즉, 이는 H {\displaystyle \mathbb {H} } 위의, 가역 사원수의 리 군 Unit ( H ) = H { 0 }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Unit} (\mathbb {H} )=\mathbb {H} \setminus \{0\}} 의 2차 직접곱

Unit ( H ) × Unit ( H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Unit} (\mathbb {H} )\times \operatorname {Unit} (\mathbb {H} )}

표현을 정의한다. 이는 일반적으로 쌍선형 형식 , {\displaystyle \langle -,-\rangle } 을 보존하지 않지만, 노름 1의 순허수 사원수로 구성된 부분군

SU ( 2 ; C ) × SU ( 2 ; C ) SL ( 1 ; H ) × SL ( 1 ; H ) Unit ( H ) × Unit ( H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U} (2;\mathbb {C} )\times \operatorname {SU} (2;\mathbb {C} )\cong \operatorname {SL} (1;\mathbb {H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1;\mathbb {H} )\leq \operatorname {Unit} (\mathbb {H} )\times \operatorname {Unit} (\mathbb {H} )}

은 이 쌍선형 형식을 보존한다. 즉, 이는 군 준동형

SU ( 2 ; C ) × SU ( 2 ; C ) SO ( 4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U} (2;\mathbb {C} )\times \operatorname {SU} (2;\mathbb {C} )\to \operatorname {SO} (4;\mathbb {R} )}

를 정의하며, 그 핵은 다음과 같은 2차 순환군이다.

{ ( + 1 , + 1 ) , ( 1 , 1 ) } H × H {\displaystyle \{(+1,+1),(-1,-1)\}\subsetneq \mathbb {H} \times \mathbb {H} }

분할 형태

Spin(2,2)은 (1,1)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의 (대역적) 등각군이다. (국소적 등각군은 비트 대수로 주어진다.) Spin ( 2 ,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in} (2,2)} 의 최소 스피너는 실수 2차원의 왼쪽·오른쪽 마요라나-바일 스피너이다. 이는 SL ( 2 ; R ) × SL (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} 의 왼쪽·오른쪽 정의(定義) 표현

2 1 {\displaystyle \mathbf {2} \otimes \mathbf {1} }
1 2 {\displaystyle \mathbf {1} \otimes \mathbf {2} }

에 해당한다.

부호수 (2,2)에서도, 2차 미분 형식호지 쌍대가 대합을 이루어, 자기 (반)쌍대 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. 이들은 마찬가지로 SL ( 2 ; R ) 2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^{2}} 의 왼쪽·오른쪽 딸림표현에 대응한다.

차원 SO(2,2) 묘사 SL(2)² 묘사 (스핀)
2 (실수) 오른쪽 마요라나-바일 스피너 (0,½)
2 (실수) 왼쪽 마요라나-바일 스피너 (½,0)
4 (실수) 벡터 (½,½)
3 (실수) 자기 쌍대 반대칭 2-텐서 (0,1)
3 (실수) 자기 반쌍대 반대칭 2-텐서 (1,0)
6 (실수) 오른쪽 라리타-슈윙거 장 (½,1)
6 (실수) 왼쪽 라리타-슈윙거 장 (1,½)
9 (실수) 무대각합 대칭 2-텐서 (1,1)

이 군의 중심은 크기 4의 아벨 군

Z ( SL ( 2 ; R ) × SL ( 2 ; R ) ) = Z ( SL ( 2 ; R ) ) × Z ( SL ( 2 ; R ) ) Cyc ( 2 ) × Cyc (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Z} (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)=\operatorname {Z} (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)\times \operatorname {Z} (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)\cong \operatorname {Cyc} (2)\times \operatorname {Cyc} (2)}

이다. 이는 SL ( 2 ; R ) 2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^{2}} 에서

{ ( σ 1 2 × 2 , σ 1 2 × 2 ) : σ , σ { ± 1 } } {\displaystyle \{(\sigma 1_{2\times 2},\sigma '1_{2\times 2})\colon \sigma ,\sigma '\in \{\pm 1\}\}}

에 해당하며, SO ( 2 ,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2,2)} 에서 이 중심 부분군은 몫군

Z ( SO ( 2 , 2 ) ) = { ± 1 4 × 4 }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Z} (\operatorname {SO} (2,2))=\{\pm 1_{4\times 4}\}}

에 해당한다. 중심에 대한 몫군은

PSO ( 2 , 2 ) PSL ( 2 ; R ) × PSL (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PSO} (2,2)\cong \operatorname {P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PSL} (2;\mathbb {R} )}

이다.

구체적으로, 실수 2×2 행렬의 공간 Mat ( 2 ,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Mat} (2,2;\mathbb {R} )} 위에, 행렬식

det ( a b c d ) = a d b c {\displaystyle \det {\begin{pmatrix}a&b\\c&d\end{pmatrix}}=ad-bc}

은 실수 이차 형식을 이루며, 이에 대응하는 실수 쌍선형 형식

( a b c d ) , ( a b c d ) = 1 2 ( a d b c + d a c b ) {\displaystyle \left\langle {\begin{pmatrix}a&b\\c&d\end{pmatrix}},{\begin{pmatrix}a'&b'\\c'&d'\end{pmatrix}}\right\rangle ={\frac {1}{2}}\left(ad'-bc'+da'-cb'\right)}

을 계산할 수 있다. 이는 부호수 (2,2)를 가지며, 그 정규 직교 기저는 다음과 같다.

기저 벡터 1 2 × 2 = ( 1 0 0 1 ) {\displaystyle 1_{2\times 2}={\begin{pmatrix}1&0\\0&1\end{pmatrix}}} σ 1 = ( 0 1 1 0 ) {\displaystyle \sigma _{1}={\begin{pmatrix}0&1\\1&0\end{pmatrix}}} i σ 2 = ( 0 1 1 0 ) {\displaystyle \mathrm {i} \sigma _{2}={\begin{pmatrix}0&1\\-1&0\end{pmatrix}}} σ 3 = ( 1 0 0 1 ) {\displaystyle \sigma _{3}={\begin{pmatrix}1&0\\0&-1\end{pmatrix}}}
노름 +1 −1 +1 −1

Mat ( 2 ,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Mat} (2,2;\mathbb {R} )} 위에는 GL ( 2 ; R ) × GL (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G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GL} (2;\mathbb {R} )} 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.

( g , h ) v = g v h 1 {\displaystyle (g,h)\cdot v=gvh^{-1}}

이는 일반적으로 쌍선형 형식 , {\displaystyle \langle ,\rangle } 을 보존하지 않으나, 그 SL ( 2 ; R ) × SL ( 2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} 부분군은 이를 보존한다. 즉, 이는 군 준동형

SL ( 2 ; R ) × SL ( 2 ; R ) SO ( 2 ,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imes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R} )\to \operatorname {SO} (2,2)}

을 정의한다. 이는 전사 함수이며, 그 핵은 2차 순환군

{ ( + 1 2 × 2 , + 1 2 × 2 ) , ( 1 2 × 2 , 1 2 × 2 ) } {\displaystyle \left\{\left(+1_{2\times 2},+1_{2\times 2}\right),\left(-1_{2\times 2},-1_{2\times 2}\right)\right\}}

이다.

로런츠 형태

Spin ( 1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in} (1,3)} 은 2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(대역적) 등각군이다. 즉, 이는 사실 리만 구자기 동형군(뫼비우스 변환들의 군)

Spin ( 1 , 3 ) SL ( 2 ; C ) Aut ( C P 1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in} (1,3)\cong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\cong \operatorname {Aut} (\mathbb {CP} ^{1})}

이다.

Spin ( 1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in} (1,3)} 의 최소 스피너는 복소수 2차원의 왼쪽·오른쪽 바일 스피너이다. 이는 SL ( 2 ; C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} 의 정의 표현 2 {\displaystyle \mathbb {2} } 및 그 복소수 켤레 2 ¯ {\displaystyle {\bar {\mathbf {2} }}} 에 대응한다. SO ( 1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1,3)} 의 4차원 실수 정의 표현 4 {\displaystyle \mathbf {4} } SL ( 2 ; C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} 의 표현

2 2 ¯ {\displaystyle \mathbf {2} \otimes {\bar {\mathbf {2} }}}

에 대응한다.

이 부호수에서, 호지 쌍대2차 미분 형식의 대합이 되지 못한다. 즉, 2차 미분 형식 F {\displaystyle F} 에 대하여

F = F {\displaystyle **F=-F}

이다. 이에 따라 2차 미분 형식의 자기 (반)쌍대 조건을 가할 수 없다. 이는 Spin ( 1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pin} (1,3)} 이 두 군의 직접곱으로 분해되지 못하여, 그 딸림표현기약 표현이기 때문이다.

구체적으로, 다음과 같은 꼴의 2×2 행렬들의 4차원 실수 벡터 공간을 생각하자.

V = { ( z i x i y z ¯ ) : z C , x , y R } {\displaystyle V=\left\{{\begin{pmatrix}z&\mathrm {i} x\\\mathrm {i} y&{\bar {z}}\end{pmatrix}}\colon z\in \mathbb {C} ,\;x,y\in \mathbb {R} \right\}}

V {\displaystyle V} 위에는 다음과 같은 실수 쌍선형 형식이 존재한다.

u , v = 1 2 Re ( tr ( u v ¯ ) ) {\displaystyle \langle u,v\rangle ={\frac {1}{2}}\operatorname {Re} (\operatorname {tr} (u{\bar {v}}))}

쌍선형 형식의 부호수는 (3,1)이며, 이에 대한 정규 직교 기저는 다음과 같다.

기저 벡터 1 2 × 2 = ( 1 0 0 1 ) {\displaystyle 1_{2\times 2}={\begin{pmatrix}1&0\\0&1\end{pmatrix}}} i σ 3 = ( i 0 0 i ) {\displaystyle \mathrm {i} \sigma _{3}={\begin{pmatrix}\mathrm {i} &0\\0&-\mathrm {i} \end{pmatrix}}} i σ 1 = ( 0 i i 0 ) {\displaystyle \mathrm {i} \sigma _{1}={\begin{pmatrix}0&\mathrm {i} \\\mathrm {i} &0\end{pmatrix}}} σ 2 = ( 0 i i 0 ) {\displaystyle \sigma _{2}={\begin{pmatrix}0&-\mathrm {i} \\\mathrm {i} &0\end{pmatrix}}}
노름 +1 +1 +1 −1

즉, V {\displaystyle V} 민코프스키 공간 R 1 , 3 {\displaystyle \mathbb {R} ^{1,3}} 으로 여길 수 있다.

이 위에는 다음과 같은 꼴의 SL ( 2 ; C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} 작용이 존재한다.

v G v G ¯ 1 ( G SL ( 2 ; C ) , v V ) {\displaystyle v\mapsto Gv{\bar {G}}^{-1}\qquad (G\in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,\;v\in V)}

이 작용은 위의 쌍선형 형식을 보존하며, 따라서 군 준동형

SL ( 2 ; C ) SO ( 1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\to \operatorname {SO} (1,3)}

을 정의한다. 그 핵은 물론

{ ± 1 2 × 2 } = Z ( SL ( 2 ; C ) ) {\displaystyle \left\{\pm 1_{2\times 2}\right\}=\operatorname {Z} (\operatorname {SL} (2;\mathbb {C} ))}

이다.

SO*(4)

SO(4)는 SO*(4)라는 또다른 실수 형식을 갖는다. 구체적으로, 다음과 같은 군 준동형들을 생각하자.

SO ( 4 ; C ) SL ( 4 ; C ) ϕ SO ( 6 ; C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4;\mathbb {C} )\hookrightarrow \operatorname {SL} (4;\mathbb {C} )\,{\overset {\phi }{\twoheadrightarrow }}\,\operatorname {SO} (6;\mathbb {C} )}

여기서 첫째 화살표는 자명한 부분군 관계이며, 둘째 화살표 ϕ {\displaystyle \phi } 는 2겹 몫군 관계이다. 여기에 다음과 같은 실수 조건을 가할 수 있다.

SO ( 4 ; R ) SU ( 4 ) Spin ( 6 ) SO ( 6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4;\mathbb {R} )\hookrightarrow \operatorname {SU} (4)\cong \operatorname {Spin} (6)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O} (6;\mathbb {R} )}
SO ( 2 , 2 ) SU ( 2 , 2 ) Spin ( 4 , 2 ) SO ( 4 , 2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2,2)\hookrightarrow \operatorname {SU} (2,2)\cong \operatorname {Spin} (4,2)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O} (4,2)}
SO ( 3 , 1 ) SU ( 3 , 1 ) SO ( 6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3,1)\hookrightarrow \operatorname {SU} (3,1)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O} ^{*}(6)}
SO ( 4 ; R ) SL ( 4 ; R ) Spin ( 3 , 3 ) SO ( 3 , 3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(4;\mathbb {R} )\hookrightarrow \operatorname {SL} (4;\mathbb {R} )\cong \operatorname {Spin} (3,3)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O} (3,3)}
SO ( 4 ) SU ( 4 ) Spin ( 5 , 1 ) SO ( 5 , 1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^{*}(4)\hookrightarrow \operatorname {SU} ^{*}(4)\cong \operatorname {Spin} (5,1)\twoheadrightarrow \operatorname {SO} (5,1)}

즉, SO*(4)는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.

SO ( 4 ) = SU ( 4 ) SL ( 4 ; R ) = ϕ 1 ( SO ( 5 , 1 ) ) SL ( 4 ; R ) {\displaystyle \operatorname {SO} ^{*}(4)=\operatorname {SU} ^{*}(4)\cap \operatorname {SL} (4;\mathbb {R} )=\phi ^{-1}(\operatorname {SO} (5,1))\cap \operatorname {SL} (4;\mathbb {R} )}

다시 말해, 이는 (5,1)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의 4차원 (왼쪽 또는 오른쪽) 바일 스피너의 실수 선형 변환 가운데, (5,1)차원 로런츠 변환에 속하는 것들이다.

같이 보기

참고 문헌

  • Naimark, M. A.; Farahat, H. K. (1964). 《Linear Representations of the Lorentz Group》. International Series of Monograph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(영어) 63. doi:10.1016/B978-0-08-010155-2.50001-1. ISBN 978-0-08-010155-2. 

외부 링크

  • Garrett, Paul (2015년 5월 7일). “Sporadic isogenies to orthogonal groups” (PDF) (영어).